한국DMZ평화생명동산
DMZ생태평화교육 일반과정 프로그램 소개
1. 기본프로그램
- 한국DMZ평화생명동산 소개와 친환경 생활안내(20분)
- 한국DMZ평화생명동산의 설립목적과 활동, 시설과 친환경 생활안내 등
- 영상 시청(20분)
-
- 주제 : 평화생명통일의 땅 DMZ
- 주내용 : DMZ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현재의 생태문화적 가치, 그리고 미래의 나아갈 길
- DMZ 전시관 관람(30분) / 안내자 해설
- 전시내용 : 6 · 25전쟁의 아픔과 상처, DMZ 일원의 지리적 · 생태적 현황과 가치, 중동부산악 DMZ 일원의 생태와 식물상 관찰, 향로봉 · 가전리 습지 · 용늪 생태계의 현황과 중요성 등 간접 체험
2. 평화생태현장탐방교육
주제 | 장소 | 주요내용 | 소요시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생태체험교육 | 대암산 용늪 (해발 1,250m) |
국내 람사르습지 1호 | 240분 | 25인승 버스, 도보 5.15-10.30 가능 |
생태체험교육 | 대암산 심적산림습원 (해발 700m) |
대암산 700m에 위치한 산지습지에 서식하는 끈끈이주걱 등의 습지식물과 나비 관찰 | 240분 | 25인승 버스, 도보 |
생태체험교육 | 향로봉 산림유전자원보호림 |
백두대간과 DMZ가 만나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생태지역 탐방 | 180분 | 버스, 도보 5.15-10.30 가능 |
생태체험교육 | 인북천 | 하천생태계의 이해와 민물고기 탐사 | 180분 | 버스 |
DMZ생태평화 체험교육 | 을지전망대, 산양증식센터 | DMZ내부의 숲과 하천, 북녘땅 조망, 산양증식센터, 해안면(펀치볼) | 210분 | 버스이동 |
3. 생태체험프로그램
주제 | 주요내용 | 적정소요시간 |
---|---|---|
유기농업체험 |
|
90분 |
기후변화 자연에너지 체험 |
|
90분 |
슬로푸드 체험 (제철 장아찌 만들기) |
|
90분 |
에코티어링 “숨어 있는 생물자원을 찾아라” |
|
120분 |
놀면서 배우는 사계절 “자연빙고” |
|
120분 |
4. 문화체험 프로그램
주제 | 주요내용 | 적정소요시간 |
---|---|---|
전통문화체험 |
|
90분 |
건강체험 |
|
120분 (30명 기준) |
5. 강의
분야 | 강의주제 | 강의내용 | 성명 | 소속 |
---|---|---|---|---|
환경일반 | 생명의 위기와 문명의 대전환 | 자연파괴, 자원수탈형 산업구조와 대량생산 · 소비 · 폐기 거대문명의 복합작용으로 인한 인간소외와 생명의 위기를 알아보고, 우리가 가야할 새로운 사회, 새로운 문명과 실천과제에 대한 강의 | 정성헌 이사장 | 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|
DMZ 일원의 생태계 일반 현황과 가치 | DMZ 일원의 풍경사진과 생태계 설명, DMZ 일원의 동식물 현황과 특징, DMZ 일원의 생태적 중요성에 대해 학습 | 황호섭 사무국장 | 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| |
DMZ 생태 | DMZ 일원의 식물 현황과 가치 |
DMZ의 나무 이야기 - 나무의 분류, 나무가 주는 생태계 혜택과 중요성, 한국과 DMZ에서 자라는 나무의 종류와 특징 등 | 박완근 교수 | 강원대학교산림과학대학 |
현진오 소장 |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| |||
이병천 박사 | (전)국립수목원 | |||
김영철 실장 | 한국자생식물원 | |||
DMZ 일원의 포유동물 현황과 가치 |
한상훈 박사 | 국립생물자원관 | ||
한성용 소장 | 한국수달연구소 | |||
최현명 | ||||
조범준 국장 | 야생동물관리협회 | |||
DMZ 일원의 조류 현황과 가치 |
최순규 박사 | 강원대학교 | ||
박진영 박사 | 국립생물자원관 | |||
DMZ 일원의 곤충 현황과 가치 |
이승환 교수(곤충) | 서울대학교 | ||
조영복 박사(갑충) | 한남대자연사박물관 | |||
이강운 소장(나비) | 홀로세생태연구소 | |||
권순직 박사 (저서성대형무척추) |
(사)생태계조사평가협회 | |||
최용근 소장 (동굴생태, 거미) |
한국동굴연구소 | |||
DMZ 일원의 양서 · 파충류 현황과 가치 |
이상철 박사 | 인천대학교 | ||
DMZ 일원의 균류 현황과 가치 |
임영운 교수 | 서울대학교 | ||
DMZ 일원의 지질 · 지형 현황과 특징 |
양해근 소장 | 한국환경재해연구소 | ||
DMZ 인문사회 | 평화 · 생명 · 통일로 가는 길 | 통일의 필요성, 통일을 위한 준비, 통일의 방법, 통일국가의 모습과 개인의 실천적 과제에 대한 강의 | 정성헌 이사장 | 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|
DMZ 일원의 역사문화 유적 현황과 가치 | 황평우 관장 | 육의전박물관 | ||
DMZ의 과거 · 현재 · 미래 |
정범진 이사 | 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| ||
DMZ 일원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현명한 이용 | 박은진 박사 | 국립생태원 | ||
사람다움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과 지속가능발전 - 말과 밥을 중심으로 - | 사람이 살아가는 기본인 “밥”과 “말”의 근본과 기본에 대해 알아보고, 제대로 먹고 올바르게 말하는 방법을 학습 | 정성헌 이사장 | 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|
6. DMZ생태평화교육 세부일정 예시
① DMZ생태평화교육 기본(안)
일자 | 시간 | 일정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일차 | ~11:00 | 한국DMZ평화생명동산 도착(숙소배정) | |
11:00~12:00 | 한국DMZ평화생명동산 소개 - 영상 ‘평화생명의 터전 DMZ' 시청, 친환경생활안내(물, 전기, 밥 절약), DMZ생태전시관 견학 | ||
12:00~13:00 | 점심식사 | ||
13:00∼14:00 | 강의. 생명의 위기와 문명의 대전환 | 정성헌 이사장 | |
14:00~18:00 |
DMZ 일대 생태역사 탐방
|
||
18:00~19:00 |
전통문화체험
|
||
20:30~ | 자유시간 후 취침 | ||
2일차 | 08:00∼09:00 | 아침식사 | |
09:00~10:00 | 유기농업 노동체험 | ||
10:00~12:00 | 기후변화 이해와 자연에너지 체험 | ||
12:00∼13:00 | 점심식사 | ||
14:00~ | 집으로 |
② DMZ생태평화교육 특화주제 예시 - 야생동물 학교
시간 | 프로그램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1일 | 12:00∼13:00 | 도착. 짐정리 후 점심식사 | |
13:00∼14:00 | 한국DMZ평화생명동산 소개 - 영상 ‘평화생명의 터전 DMZ' 시청, 친환경생활안내(물, 전기, 밥 절약), DMZ생태전시관 견학 | ||
14:00∼16:00 |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한 숨어 있는 생물자원 찾기(에코티어링) | ||
16:00∼18:00 | 현장탐사1. 야생동물 포획틀과 무인카메라 설치 | ||
18:00∼19:00 | 저녁식사 | ||
19:00∼21:00 | 야간 곤충 관찰 | ||
21:00∼ | 취침 | ||
2일 | 08:00∼09:00 | 아침식사 | |
09:00∼11:00 | 강좌1. DMZ 일원의 야생동물 이야기 | ||
11:00∼12:00 | 현장탐사2. 야생동물 포획틀과 무인카메라 확인 | ||
12:00∼13:00 | 점심식사 | ||
13:00∼14:00 | 소감 나누기와 설문조사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