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DMZ평화생명동산 창립경과
오늘 우리는 전쟁, 대결, 죽임, 차단의 DMZ 일원을 “평화와 생명의 터전”으로 바꾸어 내기 위한 뜻과 정성을 모아 한국DMZ평화생명동산을 창립하였습니다.DMZ 평화생명동산은 생명의 열쇠로 평화의 문을 열어“통일된 새로운 문명사회”로 전진하겠습니다.
- 2016
-
4~
DMZ 생물권 보전지역 주민교육사업(고성군, 양구군)
1~12
습지보호지역 주민역량강화,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지원사업(2015, 2016)
12
DMZ생태평화교육(기본/심화)과정 161회 5,460명 교육진행
- 2015
-
4~
고성군 DMZ생물권보전지역 주민교육사업
8~
양구군 DMZ생물권보전지역 주민교육사업
7~
인제군 DMZ생물권 보전지역 주민교육사업
12
DMZ평화생명체험교육 190회 5,302명 교육진행
- 2014
-
2/28
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5차 대의원총회
8/14~15
2014 DMZ평화생명통일 민회와 8도 솟대전
8
DMZ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 조사 및 제거행사
7~
고성군 DMZ생물권보전지역 주민교육사업
8~
양구군 DMZ생물권보전지역 주민교육사업
4~
인제군 DMZ생물권 보전지역 주민교육사업
12
DMZ평화생명체험교육 176회 5,243명 교육진행
- 2013
-
- 4/9
유엔(UN)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제전문센터 선포식 이후 사무국 기능 수행
6/14
인제생명사회실천운동 창립 이후 사무국 기능 수행
07/27~28
정전60 DMZ생명평화민회 주최
11/5~8
DMZ평화생명 국제포럼 2013 공동주최
12
DMZ평화생명체험교육 183회 6,733명 교육진행
- 4/9
- 2012
-
03
제3856부대 18대대 MOU체결
05
환경부의 환경교육프로그램 인증 완료 “DMZ와 함께하는 평화생명 배움터
05/19~20
DMZ평화생명문화제 개최
06~2013.01
마을길잡이 교육 실시 9회 197명 참가
07
RCE아시아 태평양 총회 참가, 인제군 홍보
07/20
DMZ일원의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 제거 활동
11
대암산 용늪 습지보호지역 및 람사르습지 생태체험사업 실시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MOU체결
12/21
2012년 인제군UN대학RCE인증도시 선정 평화생명체험교육 191회 6,512명 교육진행
- 2011
-
1/29
DMZ해설가 양성교육(심화과정) 실시 19회 257명 참가 DMZ생태문화역사 전국사진공모전 시상식, 전시회 실시
2
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2차 대의원총회
3
서화평화도서관 개관
4
인제 나눔과수원 운동 출범
6/21
무료법률상담 및 의료봉사활동 실시
6/28
DMZ일원의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 제거 활동
10/1
인제DMZ평화생명문화제 사생대회 실시
11/19~20
한국DMZ평화생명동산 창립 3주년 기념행사 평화생명체험교육 168회 6,543명 교육진행
- 2010
-
1~12
DMZ해설가양성교육 실시 12회 208명 교육
6
화합과 평화를 위한 6ㆍ25전쟁 60주년 기념행사 추진
12
‘서화평화도서관’ 설립을 위한 책 기증운동 DMZ생태문화역사 전국사진 공모전 평화생명체험교육 164회 6,446명 교육진행
- 2009
-
4
이사장과 실무자 현지로 이사, 생명살림 오행동산 조성, 현장교육 시작, 한국DMZ평화생명동산 2차이사회 개최
5
사단법인 등록(환경부)
8
교육마을(건물 8개, 건평 1,000평 1일숙식 100명 시설과 생명살림 오행동산)준공, 환경부 인제군과 위탁사업 계약 약정
9
한국DMZ평화생명동산 교육마을 개관
11
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 1차 대의원총회 평화생명체험교육 29회 1,153명 교육진행
- 2008
-
8
한국DMZ평화생명동산 주민 의료봉사 활동 시작
9
한국DMZ평화생명동산 설립 준비위원회 구성. (준비위원-김호영, 문국주, 이학봉, 전성, 정성현, 조규석, 황호섭)
10
한국DMZ평화생명동산 설립제안(제안자: 김지하(시인), 김진선(강원도지사), 김진현(세계평화포럼이사장), 박삼래(인제군수), 박종화(목사), 수경(스님), 이삼열(한국유네스코사무총장), 이연숙(前정무 2장관), 이현숙(前대한적십자사 부총재), 오정희(소설가), 정성헌(평화생명동산추진위), 함세웅(신부))
11
(사)한국DMZ평화생명동산창립총회
- 2006
-
4
국제 가톨릭 농민연맹 47개국 대표 평화생명동산 교육마을에 사과 ㆍ배 등 식수
5
서화면 점고개 일대에 평화생명교육마을 착공(건평997평, 대지37,000평, 태양열, 지열활동, 지붕전체잔디밭, 빗물활용, 생활하수 순환활용, 조경은 생명살림 오행동산 등이며, 1일 100명 숙식가능)
9
일본 평화운동가 DMZ답사단 9명 현장 방문 – 서화리 주민 장승동산 조성
- 2005
-
1
사업추진 기본계획수립
12
「한국DMZ평화생명동산」 주민설명회 개최
- 2004
-
12
「한국DMZ평화생명동산」 으로 개칭하고 평화ㆍ생명교육마을의 부지 확보(서화면 점고개)
- 2000
-
6/7
「한국DMZ평화생명마을」 추진위원회 발족
10
평화생명마을 조성 기본계획 수립(강원개발연구원, 삼우환경 컨설턴트)
- 1999
-
2
인제군 서화면 가전리 지구를 현지 답사하면서 DMZ 중동부 전선을 연결하는 생태통로 역할을 하고있는 이일대를 ‘지뢰생태공원화’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
4~10
서화 가전 지구에 대한 자연생태, 지리지형, 토지이용, 인문사회등 4개 분야에 대해 1,2차종합조사, 3차정밀조사, 4차보완조사를 실시
5
「한국DMZ평화생명마을」 설립을 위한 실무기획팀(권기현, 구영모, 정성헌, 함광복) 구성
10
「한국DMZ평화생명마을」 마스터플랜 확정
11/24
「한국DMZ평화생명마을」 건설운동제안(권글술, 김지하, 김진선, 민병석, 오정희, 유재천, 이삼열, 이승호, 정성헌, 조형)
12
UNDP와 한국DMZ평화생명마을 추진협의(2000년 2월까지 6차례 협의)
- 1998
-
11
인제군의 요청으로 남북강원도교류 협력기획단에서 인제군 서화면 가전지구 답사 및 평화생태공원화 타당성 검토